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아카이브 📚🎥:Further Reading & Viewing/📂 조동사의 표현력

📘 조동사 would 완전 분석 | 한국어 화자 관점.거리감!

by To Be or... Whatever 2025. 4. 2.


1. ✅ 정의와 핵심 개념

Would는 조동사 will의 과거형으로 시작하지만,
단순히 시제 과거가 아니라 **“심리적 거리감”**이나 **“가상의 시간 틀”**을 표현하는 용법이 핵심이다.

즉, ‘지금 여기’가 아닌 어떤 시간·조건·심리적 거리 밖에서의 가능성, 추측, 습관, 정중함을 담는 말이다.


2. 🧭 주요 용법 분류


가정법 현실이 아닌 조건에 대한 결과 If I knew, I would tell you.
추측 조심스러운 판단, 가능성 That would be her brother.
과거의 반복적 습관 과거에 자주 했던 행동 He would always whistle while working.
정중한 표현 요청, 제안, 표현의 완화 Would you like some tea?
미래의 과거 표현 과거 시점에서 본 미래 He said he would be late.

3. 🇰🇷 한국어 화자의 혼란 포인트

  • “would = ~할 것이다”라는 기계적인 해석은 ❌
  • 실제로는 정서적 거리감현실로부터의 분리가 핵심
  • 특히 가정법·추측·완곡 표현에서 혼란 많음
    → 한국어에는 이런 심리적 거리 표현 방식이 명확히 대응되지 않기 때문

4. 🧪 예문 정리 (끊어 읽기 + 직역 포함)

① 가정법 (비현실적 조건)


[입문]
If I had money, I would buy it.

  • If / I had / money, / I would / buy / it
  • 만약 / 내가 가졌다면 / 돈을, / 나는 ~할 텐데 / 사다 / 그것을
  • → 현실에선 돈이 없다는 뜻

[중급]
If he were here, he would understand.

  • If / he were / here, / he would / understand
  • 만약 / 그가 / 여기 있었다면, / 그는 ~할 텐데 / 이해하다
  • → 실제론 그가 여기에 없다

[고급]
If I had seen the signs, I would have stopped earlier.

  • If / I had seen / the signs, / I would have / stopped / earlier
  • 만약 / 내가 보았더라면 / 그 표지들을, / 나는 ~했을 것이다 / 멈췄다 / 더 일찍
  • → 가정법 과거완료 + would have: 과거에 대한 후회, 이미 지나간 상황

② 추측 (조심스러운 판단)


[입문]
That would be my teacher.

  • That / would be / my teacher
  • 저 사람은 / ~일 것이다 / 내 선생님
  • → 확신은 없지만 가능한 추정

[중급]
It would take about an hour to get there.

  • It / would take / about an hour / to get / there
  • 그것은 / 걸릴 것이다 / 약 한 시간 / 도착하는 데 / 거기에
  • → 대략적 시간 추정

[고급]
Given his tone, that would explain her reaction.

  • Given / his tone, / that / would explain / her reaction
  • 그의 말투를 고려하면, / 그것은 / 설명해줄지도 모른다 / 그녀의 반응을
  • → 추측 + 논리적 해석 포함

③ 과거의 습관


[입문]
He would play outside every day.

  • He / would play / outside / every day
  • 그는 / 놀곤 했다 / 밖에서 / 매일
  • → 과거의 반복 행위

[중급]
We would go fishing in the summer holidays.

  • We / would go / fishing / in the summer holidays
  • 우리는 / 가곤 했다 / 낚시를 / 여름 방학 동안
  • → 시간 표현과 결합된 습관

[고급]
She would always stay silent when things got tense.

  • She / would always / stay / silent / when / things / got tense
  • 그녀는 / 항상 ~하곤 했다 / 머물다 / 조용한 상태로 / 상황이 / 긴장될 때
  • → 특정 감정 상황에 대한 반복적 반응

④ 정중한 표현


[입문]
Would you like some water?

  • Would / you / like / some water?
  • ~하시겠어요 / 당신은 / 원하다 / 물을
  • → polite offer

[중급]
Would you mind helping me with this box?

  • Would / you mind / helping / me / with / this box?
  • ~괜찮을까요 / 당신이 / 돕는 것 / 나를 / 이 상자 옮기는 데
  • → 정중한 요청 (mind + 동명사 구조)

[고급]
Would it be possible for you to submit the report by noon?

  • Would / it be / possible / for you / to submit / the report / by noon
  • ~일까요 / 가능할 / 당신이 / 제출하는 것이 / 그 보고서를 / 정오까지
  • → 공손함 + 복잡한 구성

⑤ 미래의 과거 표현


[입문]
He said he would come.

  • He / said / he would / come
  • 그는 / 말했다 / 그가 ~할 거라고 / 오다
  • → 과거 시점에서 본 미래

[중급]
I knew the meeting would start late.

  • I / knew / the meeting / would start / late
  • 나는 / 알았다 / 그 회의가 / 시작할 거라는 것을 / 늦게
  • → 예상된 결과

[고급]
They promised they would have finished by Friday.

  • They / promised / they would have / finished / by Friday
  • 그들은 / 약속했다 / 그들이 ~했을 거라고 / 끝냈다 / 금요일까지
  • → 완료 시점까지 예측된 과거의 미래 행동

① 가정법 – 현재 사실과 다른 상상

If I were you, I would stay.

  • If / I were / you, / I would / stay
  • 만약 / 내가 / 너라면, / 나는 ~할 것이다 / 머물기를
  • → 실제로는 "내가 너가 아니므로 머무르지 않는다"는 의미

② 추측 – 관찰 기반의 가능성

That would be her father.

  • That / would be / her father
  • 저 사람은 / ~일 것이다 / 그녀의 아버지
  • → 확신은 없지만 가능한 추정 (→ “아마 그분이 그녀 아버지일 거예요”)

③ 과거의 반복적 습관

He would always hum in the morning.

  • He / would always / hum / in the morning
  • 그는 / 늘 ~하곤 했다 / 콧노래를 부르다 / 아침마다
  • → 과거의 지속된 행동. now는 안 함

④ 정중한 제안

Would you like some coffee?

  • Would / you / like / some coffee?
  • ~하시겠어요 / 당신은 / 원하다 / 커피를
  • → “커피 드시겠어요?”보다 훨씬 부드러운 느낌

⑤ 미래의 과거 표현

He said he would help me.

  • He / said / he would / help / me
  • 그는 / 말했다 / 그가 ~할 거라고 / 도울 거라고 / 나를
  • → 과거에서 본 미래

5. 🌿 감정 표현에서의 would

‘would’는 문학과 감정 지문에서 감정적 거리를 표현할 때 매우 강력한 도구다.

  • 현실에 관여하지 않으려는 조심스러움
  • 상대방에 대한 불신 또는 망설임
  • 직접 말하지 않고 내면 판단을 감싸는 완곡한 톤

예:

“It wasn’t even as though she had shapely breasts which might suit the no-bra look.”
→ “그녀가 그런 몸매를 가졌던 것도 아닌데”
여기서 would/might suit는 그 판단에 대해 화자가 거리를 두며 조심스럽게 말하는 어조를 형성


6. 📌 요약: would의 핵심은 거리감

  • 시제만의 과거가 아니라 심리적 시간적 거리감
  • 직접적이지 않은 완곡한 정서 표현
  • 한국어로는 “~했을 텐데 / ~하곤 했지 / ~일 거야 / ~해줄 수 있을까요”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됨
  • 문장 전체의 분위기, 화자의 감정 태도와 연결해서 해석해야 정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