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아카이브 📚🎥:Further Reading & Viewing/📂 조동사의 표현력2

📘 조동사 might – 과거 시점의 '가능성' or '가정법' 🔍 핵심 문장"I had never considered the possibility that our life together might undergo such an appalling change."— The Vegetarian, tr. Deborah Smith❓ 핵심 질문might는 여기서 과거 시점의 가능성을 표현한 걸까?아니면 가정법이 적용된 걸까?정답: 과거 시점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표현, 가정법이 아니다!🔎 과거 시점의 가능성 vs 가정법 사용 비교1. 과거 시점에서의 가능성 표현might는 과거 시점에서의 가능성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예시:He might have been at the party last night. (그가 어젯밤 파티에 있었을 수도 있다.)I might see her tom.. 2025. 4. 4.
📘 조동사 would 완전 분석 | 한국어 화자 관점.거리감! 1. ✅ 정의와 핵심 개념Would는 조동사 will의 과거형으로 시작하지만,단순히 시제 과거가 아니라 **“심리적 거리감”**이나 **“가상의 시간 틀”**을 표현하는 용법이 핵심이다.즉, ‘지금 여기’가 아닌 어떤 시간·조건·심리적 거리 밖에서의 가능성, 추측, 습관, 정중함을 담는 말이다.2. 🧭 주요 용법 분류가정법현실이 아닌 조건에 대한 결과If I knew, I would tell you.추측조심스러운 판단, 가능성That would be her brother.과거의 반복적 습관과거에 자주 했던 행동He would always whistle while working.정중한 표현요청, 제안, 표현의 완화Would you like some tea?미래의 과거 표현과거 시점에서 본 미래He sai.. 2025.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