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 과거완료진행형은 had + been + 동사-ing 형태로, 과거의 특정 시점이나 사건에서 계속 진행된 상태나 행위를 나타낸다.
✔기본 용법
- 과거완료진행형은 주로 과거의 특정 시점 이전에 이미 시작되어, 그 시점까지 계속 진행된 행위나 상태를 강조한다.
- 이때 **"직전에 일어나지 않은 일"**을 말할 때 유용하다.
🔍 예시 문장
- "I had been studying for two hours when she called."
→ 나는 두 시간 동안 공부하고 있었는데, 그녀가 전화를 했다.- 과거 시점 이전에 2시간 동안 공부하고 있었음을 강조.
- "She had been working at the company for 5 years before she quit."
→ 그녀는 그 회사를 5년 동안 다녔었다가 그만두었다.- 그 전까지 5년간 계속 다녔다는 상태를 강조.
🧠 과거완료진행형의 주요 특징
- 시점 이전의 진행된 상태
- 과거완료진행형은 과거의 어떤 시점 이전에 계속해서 진행되었거나 상태가 유지되었음을 나타냄.
- 예를 들어, **"I had been waiting for 30 minutes"**는 "30분을 기다리고 있었는데"라는 의미로, 그때까지 기다리는 상태가 계속 유지되었음을 강조.
- 강조된 시간의 흐름
- 과거완료진행형은 그 시점까지의 시간의 흐름이나 **“하던 일”**이 계속됐다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단순 과거로 표현한 것보다 훨씬 강조된 시간을 나타낸다.
- “직전에 일어날 뻔한 일”을 나타낼 때
- **“I'd been about to”**는 과거완료진행형으로 **“직전에 하려던 일”**을 나타내며,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상태임을 강조한다.
📌 과거완료진행형 vs 단순 과거
시제예문설명
단순 과거 | I studied for two hours. | 단순히 과거에 일어난 사건 (과정은 강조하지 않음) |
과거완료진행형 | I had been studying for two hours when she called. | 두 시간 동안 계속 진행되던 상태가 그 시점에 완료된 것을 강조 |
📚 정리 요약
- 과거완료진행형은 과거의 특정 시점 이전에 계속 진행되던 상태나 행위를 강조한다.
- **“I'd been about to”**는 그 당시 하려던 일이었지만, 직전에 멈추게 된 상황을 나타낸다.
- **“about to”**는 전치사 + to 부정사로 "곧 ~하려던 참이었다"는 의미를 전달.
📮 궁금하거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
'아카이브 📚🎥:Further Reading & Viewing > 📂 시제와 거리감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had yet to + 동사원형/ 아직 일어나지 않은 상태 (0) | 2025.04.25 |
---|---|
📘 find oneself ~ing / 형용사 (0) | 2025.04.16 |
📘 “시제가 섞인다” = '한국식 문법 설명'. 오해를 통한 이해 (0) | 2025.04.13 |
📘 과거 완료(had + p.p.) – 단순 과거와의 차이, 감정의 거리 (0) | 2025.04.04 |
📘 과거완료 – 시간의 두께와 감정의 거리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