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핵심 문장
"I had never considered the possibility that our life together might undergo such an appalling change."
— The Vegetarian, tr. Deborah Smith
2. 과거완료란?
✅ 기본 형태
- had + 과거분사(p.p.) 형태
- 모든 주어에 동일하게 사용 (I, you, he, she, we, they 모두 had)
✅ 기본 기능
- 과거의 한 시점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일을 말할 때 사용
- 흔히 말하는 '과거보다 더 과거', 또는 '과거 속의 과거'
🧭 예시:
- I had finished dinner before he arrived.
→ 그는 도착했지만, 나는 그 전에 저녁을 끝냈다. - She had left when I called her.
→ 내가 전화했을 땐, 이미 떠난 후였다.
3. 왜 'had considered'를 썼을까?
이 문장에서 화자는 지난 2월의 어느 날을 떠올리고 있음.
그날 아내를 보고 충격을 받았는데, 그날보다 더 전에는 단 한 번도 그런 가능성을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는 의미야.
📌 만약 단순 과거로 “I didn’t consider”라고 했다면, 그 순간에만 생각하지 않았다는 의미에 그쳐.
그런데 “I had never considered”는 그날까지 한 번도, 단 한순간도,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는 강조가 돼.
👉 ‘시간의 길이’와 ‘강조’가 동시에 담겨 있음
4. 과거완료 vs 과거 시제 차이
시제예문의미 차이
과거 | I didn't consider the possibility. | 그냥 과거의 어느 시점에 잠깐 생각하지 않음 |
과거완료 | I had never considered the possibility. | 그 시점 이전까지 한 번도 생각해본 적 없음 (시간의 누적 강조) |
🧠 한마디로, 과거는 사건 중심, 과거완료는 흐름과 축적까지 포함!
5. 감정적 뉘앙스 차이
과거완료는 단순한 시간 표현을 넘어서, ▶ 후회, 회상, 강조, 감정적 거리감을 표현할 때 매우 자주 쓰여.
🔹 예시:
- I had trusted him completely.
→ (지금은 아니지만) 예전에는 정말로 그를 믿었었다 (회상 + 단절) - She had always dreamed of Paris.
→ 그녀는 늘 파리를 꿈꿨었다 (이전까지의 오랜 감정 흐름 강조) - We had never argued before that night.
→ 그 밤 전에는 한 번도 싸운 적이 없었다 (감정적 전환점 강조)
6. 정리 요약
- 과거완료는 단순한 '시간 이전' 표현이 아니라, 시간의 두께와 감정의 결을 함께 전하는 시제
- Ep.15의 “I had never considered…”는 → 단순히 “그때는 몰랐다”가 아니라, → “그 전까지 살아오면서 한 번도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었다”는 절대적 무경험의 강조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
'아카이브 📚🎥:Further Reading & Viewing > 📂 시제와 거리감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had yet to + 동사원형/ 아직 일어나지 않은 상태 (0) | 2025.04.25 |
---|---|
📘 find oneself ~ing / 형용사 (0) | 2025.04.16 |
📘 “시제가 섞인다” = '한국식 문법 설명'. 오해를 통한 이해 (0) | 2025.04.13 |
📘 과거완료진행형 (Past Perfect Continuous)/had been -ing (0) | 2025.04.04 |
📘 과거완료 – 시간의 두께와 감정의 거리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