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I carefully separated those two hundred or so pages, I glanced again at the words on them. I could see that I had written a complete book.
It had all the elements of the seventeen or so books I had written before, the same things students of writing list on school quizzes: characters, plot, setting, tension, climax.
(Though I didn't reply as he had hoped to a student who emailed me some years later with the request "Please list all the similes and metaphors in The Giver," I'm sure it contained those as well.).
I had typed THE END after the intentionally ambiguous final paragraphs.
➀ As I carefully separated those two hundred or so pages, I glanced again at the words on them.
🌳 트리 구조
As I carefully separated those two hundred or so pages,
└── I glanced again [S + V]
└── at the words
└── on them
🧩 청크나누기
- As I carefully separated / those two hundred or so pages,
→ 나는 조심스럽게 분리하면서 / 그 200페이지쯤 되는 원고들을 - I glanced again / at the words / on them.
→ 나는 다시 흘끗 보았다 / 그 단어들을 / 그 (페이지) 위에 (적혀) 있는
➤ 의역:
그 이백 장쯤 되는 원고를 조심스레 떼어내면서, 나는 그 위에 적힌 단어들을 다시 힐끗 들여다보았다.
📝 보충 설명
- "As"는 시간 부사절 접속사로, 주절과 '동시 발생'의 의미.
- "two hundred or so"는 대략적인 수치 표현으로, 대강 200장 내외라는 의미.
- "glanced again"은 과거에 했던 동작이 반복됨을 강조.
- "on them"은 앞선 'pages'를 지시, 물리적 위치 강조.
➁ I could see that I had written a complete book.
🌳 트리 구조
I could see [S + V]
└── that I had written
└── a complete book
🧩 청크나누기
- I could see / that I had written / a complete book.
→ 나는 알 수 있었다 / 내가 썼다는 것을 / 완성된 책 한 권을
➤ 의역:
나는 그것이 한 권의 온전한 책이 되었다는 걸 알아볼 수 있었다.
📝 보충 설명
- "could see"는 감각적 인식이자 확신 표현. 'see'는 단순히, '봤다'가 아니라,'인지했다'는 동사.
- "had written"은 과거 완료, ‘보다’보다 앞서 완료된(쓰여진) 상태.
- "a complete book"은 단지 다 쓰여진 책이 아니라 온전한 구성의 책(소설로서 갖춰야 할 요소들이 빠짐없이 들어 있는, 구조적으로 완성된 책)을 의미.
➂ It had all the elements of the seventeen or so books I had written before, the same things students of writing list on school quizzes: characters, plot, setting, tension, climax.
🌳 트리 구조
It had [S + V]
├── all the elements
│ └── of the seventeen or so books
│ └── I had written before
└── the same things
└── students of writing list
└── on school quizzes
🧩 청크나누기
- It had / all the elements / of the seventeen or so books / I had written before,
→ 그것은 가지고 있었다 / 모든 구성 요소들을 / 대략 열일곱 권쯤 되는 책들의 / 내가 이전에 썼던 - the same things / students of writing list / on school quizzes:
→ 같은 것들을 / 글쓰기 학생들이 나열하는 / 학교 시험 문제에서 - characters, plot, setting, tension, climax.
→ 등장인물, 줄거리, 배경, 긴장감, 절정
➤ 의역:
그 책에는 내가 예전에 썼던 열일곱 권가량의 책들과 마찬가지로, 인물, 줄거리, 배경, 긴장감, 절정 같은, 글쓰기 수업에서 흔히 언급되는 모든 구성 요소가 들어 있었다.
📝 보충 설명
- 구조상 두 개의 병렬 객체:
- "all the elements" = 과거 저서들과의 유사성
- "the same things..." = 교육 현장에서 언급되는 필수 구성요소
- 콜론(:) 이후의 나열은 동격, 앞선 "the same things"를 구체화함.
- "seventeen or so"도 대략적인 수치 표현으로 경험치의 누적을 암시함.
➃ (Though I didn't reply as he had hoped to a student who emailed me some years later with the request "Please list all the similes and metaphors in The Giver," I'm sure it contained those as well.)
🌳 트리 구조
(Though I didn't reply [S + V]
└── as he had hoped
└── to a student
└── who emailed me
└── some years later
└── with the request
└── "Please list all..."
I'm sure [Main S + V]
└── it contained those as well
🧩 청크나누기
- (Though I didn't reply / as he had hoped / to a student / who emailed me / some years later
→ (비록 내가 답장을 하지 않았지만 / 그가 기대했던 방식으로는 / 한 학생에게 / 나에게 이메일을 보낸 / 몇 년 후에) - with the request / "Please list all the similes and metaphors in The Giver,"
→ 다음과 같은 요청과 함께 / “『The Giver』에 나오는 모든 직유와 은유를 나열해 주세요.” - I'm sure / it contained / those as well.)
→ 나는 확신한다 / 그것도 들어 있었다고 / 그 장치들도
➤ 의역:
(몇 년 뒤, 『The Giver』에 나온 직유와 은유를 전부 적어달라는 요청 메일을 보낸 학생에게 내가 그가 원하던 방식대로 답장을 하진 않았지만, 그 장치들도 분명히 그 책에 들어 있었을 거라고 나는 확신한다.)
📝 보충 설명
- 삽입 괄호로 처리된 후일담적 문장, 유머와 작가의 내적 거리감 표현
- "he had hoped"는 기대와 현실의 간극, - 그가 기대한 것은 해 주지 못했지만 그래도~ 다른 방법으로 전달하기는 했다는.
- "contained those"는 자신이 사용한 문학적 장치를 일일이 의식하지 않아도 내포되었음.
➄ I had typed THE END after the intentionally ambiguous final paragraphs.
🌳 트리 구조
I had typed [S + V]
└── THE END
└── after the intentionally ambiguous
final paragraphs
🧩 청크나누기
- I had typed / THE END / after the intentionally ambiguous final paragraphs.
→ 나는 쳐 넣었다 / ‘끝’(이라는 말을) / 의도적으로 모호한 마지막 단락들 다음에
➤ 의역:
나는 의도적으로 결말을 모호하게 남긴 뒤, 마지막에 ‘THE END’라는 단어를 쳐 넣었다.
📝 보충 설명
- "THE END"는 실제 '문서 표기'이자, 창작의 종결 상징
- "intentionally ambiguous"는 작품 철학적 핵심 → 열린 결말, 해석 가능성 부여
- 이 문장은 작가의 의도, 창작의 완결감, 열려 있는 엔딩이라는 장치를 동시에 드러냄
🧾 전체 문장 다시 보기
As I carefully separated those two hundred or so pages, I glanced again at the words on them.
I could see that I had written a complete book.
It had all the elements of the seventeen or so books I had written before, the same things students of writing list on school quizzes: characters, plot, setting, tension, climax.
(Though I didn't reply as he had hoped to a student who emailed me some years later with the request "Please list all the similes and metaphors in The Giver," I'm sure it contained those as well.)
I had typed THE END after the intentionally ambiguous final paragraphs.
🖋️ 전체 의역 정리
그 이백 쪽쯤 되는 원고를 조심스럽게 떼어내면서, 나는 그 위에 적힌 단어들을 다시 한번 흘끗 들여다보았다.
그건 명백히 한 권의 책이었다.
내가 이전에 썼던 열일곱 권쯤 되는 책들처럼, 그 안에는 인물, 줄거리, 배경, 긴장감, 절정 같은 글쓰기 수업에서 흔히 배우는 모든 구성 요소가 빠짐없이 들어 있었다.
(『The Giver』에 나온 은유와 직유를 모두 나열해 달라는 메일을 훗날 한 학생에게 받았지만, 내가 그가 원하던 방식으로 답장을 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나는 확신했다. 그 장치들도 분명 책 속에 있었을 거라고.)
나는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끝맺은 마지막 단락들 뒤에 ‘THE END’라고 써 넣었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