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 Between Language and Resonance

🕊️ The Vegetarian | Ep.47-I just couldn't understand her. Only then...

by To Be or... Whatever 2025. 6. 24.

" 나는 모르고 있었다. 저 여자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다.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었다."- 한강, <채식주의자>

I just couldn't understand her. Only then did I realize: I really didn't have a clue when it came to this woman.
The Vegetarian, tr. Deborah Smith


🌿 Emotional Grain of a Sentence
_Between Language & Resonance_

이 시리즈는
언어의 정확한 구조와 감정의 결을 함께 읽어내며,
외국어라는 타자를 화자의 몸에 체화하려는 시도입니다.

 

⚔️ 양날의 검객

언어의 두 기둥 –
실질 기술적 패턴 & 정서 문화적 뉘앙스

🛠️ Practical Grain
표현 분석, 어법, 번역의 함정들
🌿 Emotional Grain
관계의 거리와 감정의 흐름을 읽는 감응


📖 Episode begins here
⋯⋯⋯⋯⋯⋯⋯⋯⋯⋯

 

⚔️ Practical Grain – 구조의 결

✨ 청크별 직역 해석

I just couldn't understand her.
Only then / did I realize:
I really didn't have a clue / when it came to this woman.
나는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 그녀를.
그제서야 / 나는 깨달았다:
나는 정말 단서 하나 없었다 / 그게 이 여자 얘기였을 때만큼은.

 

🔍 문장 구조 해설

  • I just couldn't understand her.
    → 여기서 "just"는 단순 강조가 아니라, 이해 불가능한 상태를 강조하는 부사로 쓰였다. 화자가 그녀를 이해하려고 했으나 전혀 감을 잡을 수 없었다는 사실을 표현한다.
    → "understand"는 정보 전달의 이해가 아니라, 사람의 내면이나 성향, 감정을 파악하는 차원의 이해를 뜻한다.

 

  • Only then did I realize:
    → "Only then"이 문두에 오면서 조동사 "did"와 주어가 도치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도치구문은 강조를 위한 구문으로, 특정 시점에서 어떤 사실을 처음으로 인식했음을 나타낸다.
    → 이 구조는 화자가 지금까지는 깨닫지 못했던 사실을, 어떤 계기 이후에야 비로소 인식하게 되었음을 문법적으로 명확히 표현한다.

 

  • I really didn’t have a clue when it came to this woman.
    → "have a clue"는 '단서를 갖고 있다'는 표현으로, 어떤 상황에 대한 직관, 이해력, 또는 감각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부정형으로 쓰여 '전혀 이해하지 못함'을 강조한다.
    → "when it came to"는 어떤 주제가 특정 대상에 관련되었을 때를 말하는 표현이며, 이 경우는 '이 여자를 다루는 문제에 있어서는'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 주요 어휘와 표현 분석

  • just: 단순한 ‘그저’가 아니라, 한계선 강조 부사로 기능. '딱 그것조차 안 됨'이라는 무력감 포함
  • Only then: 시간 부사구이자 도치 트리거(구조 전환 장치). 논리 흐름을 단절하고 감정적 인지 순간을 강조
  • have a clue: “감 잡다”의 부정형 = 전혀 모르다, 전혀 감이 안 옴
  • when it came to ~: 주제 전환이 이뤄졌을 때의 화자의 정서적 거리감 혹은 관계적 무지를 표현

 

 

🌿 Emotional Grain – 감정의 결

이 문장은 영어 화자가 느끼는 무지의 자각그 시점의 감정적 거리감을 구조적으로 드러낸다.

"Only then did I realize"는 단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전에 자신이 몰랐다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했다는 이중 인지의 지연을 표현하는 구조인 것이다. 

“I didn’t have a clue”와 “when it came to this woman”은 단순한 정보 부족이 아니라, 그 대상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의 불가능성심리적 거리감문장 구조와 어휘 선택을 통해 조용히 전달하고 있다. 

 


 

📮 궁금하거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