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 동사의 작용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첫 출발
영어 동사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열쇠는 “누가 주체이고, 어떤 방향으로 작용하는가”다. 그리고 그 시작점에 있는 두 단어가 바로 take와 get이다.
🎯 이 코어 시스템의 목표
- 한국어 화자에게 혼동을 주는 대표 동사인 take와 get의 차이를, 단순한 의미 비교가 아닌 👉 작용 방향, 상태 변화, 구조 감각으로 해부한다.
- 특히 이 코어 시스템은
- “그것이 나를 take했다”
- “내가 그 상태에 도달해 get했다” 와 같은 방식으로 영어 원어민의 인지 구조를 따라가며, 구조에 반응하는 훈련을 제공한다.
🧱 핵심 비교 개념 정리
기준takeget
작용의 방향 | 내가 무엇을 취하다 / 쥐다 | 내가 어떤 결과에 도달하다 / 상태를 얻다 |
주체의 태도 | 능동적 행위 | 상태의 수동적 결과 |
대표 의미 | 가져가다, 데려가다 | 얻다, 도착하다, 상태가 되다 |
원어민 감각 | 내가 먼저 움직임 → 능동적 작용 | 내가 변화하거나 결과에 이름 → 결과적 수용 |
🧭 대표 구조로 설명
- take
- → I took the book from the shelf.
- → 내가 책을 취했다. (작용의 주체 = 나)
- get
- → I got the book from the library.
- → 책이 내게 오게 되었다. / 나는 책을 손에 넣었다. (결과 = 책을 ‘얻음’)
🗂️ 이 코어 시스템의 흐름 안내
번호 | 주제 | 설명 |
1 | take vs. get (이 포스트) | 핵심 비교 개념, 구조 철학 소개 |
1-1 | take의 방향성 해부 | 데려가기, 선택, 점유 등으로 확장 |
1-2 | get의 상태적 성격 | 획득, 도착, 변화 감각 중심 |
1-3 | 실제 문장에서 비교 | 같은 문장을 get과 take로 바꿔보기 |
1-4 | 원어민 예문 분석 | 실제 대화에서 이 둘이 어떻게 쓰이는지 비교 |
🪶 강조할 철학
영어는 의미를 만드는 언어가 아니라, 구조가 작용하는 언어다.
누가 움직이고, 누구에게 닿는가, 그 방향이 의미를 만든다.
😎 📔 Verb Core System 1-1. take의 방향성 해부
😎 📔 Verb Core System 1-2. get의 상태 변화 감각
😎 📔 Verb Core System 1-3. take와 get, 실제 문장에서 바꿔보기
😎 📔 Verb Core System 2-1. take vs. bring vs. pick vs. fetch
😎 📔 Verb Core System 2-2. get vs. become vs. receive vs. obtain
📮 궁금하거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
'아카이브 📚🎥:Further Reading & Viewing > 📂 동사의 확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동사비교 1-2. get의 상태 변화 감각 (1) | 2025.04.29 |
---|---|
📔 동사비교 1-1. take의 방향성 해부 (1) | 2025.04.28 |
📘 수동태 (Passive Voice) (0) | 2025.04.08 |
📘 완료동명사 (having + p.p.) 완전 정리 (0) | 2025.04.06 |
📘 완료동명사 vs 과거완료 비교 정리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