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 정의 (직관적 설명)
완료동명사(having + p.p.)는, 과거에 이미 일어났던 행위나 상태를 다시 끄집어내어,
그것이 지금 말하는 시점의 감정·판단·논리에 연결될 때 사용하는 동명사 표현이다.
어느 행위가 이미 확실히 끝났고,
그 기억 또는 영향이 현재 말하는 시점에 살아 있다면,
영어는 일반적인 ‘-ing’ 대신
**‘having + p.p.’라는 '과거형 동명사'**를 쓴다.
🧠 문장 내에서의 쓰이는 위치
완료동명사(having + p.p.)는 영어 문장에서 자주 만나게 되는 쓰임새가 다양한 핵심 표현이지만, 그 역할은 일관되게 '명사' 역할을 한다. 즉, 명사의 역학(주어, 목적어, 보어)을 하는 것이다.
- 주어
→ Having lost his keys worried him.
→ 열쇠를 잃어버렸던 것이 / 걱정하게 했다 / 그를 - 동사의 목적어
→ He regretted having shouted at her.
→ 그는 / 후회했다 / 소리질렀던 것을 / 그녀에게 - 전치사의 목적어
→ He was upset about having been ignored.
→ 그는 / 속상해했었다 / 무시당했던 것에 대해 - 분사구문 (부사적 용법)
→ Having finished the task, she left the office.
→ 일을 마쳤기 때문에 / 그녀는 / 떠났다 / 사무실을 - 비교/대조 구문 속 명사 역할
→ Rather than having lied, he stayed silent.
→ 거짓말을 하느니 / 그는 / 침묵에 머물렀다
📀 이처럼 완료동명사는 문장에서 언제나 ‘~했던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과거에 완료된 사건이나 상태를 하나의 표현 단위로 묶어, 문장 속에서 주어·목적어·보어 등의 명사 역할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말하자면, ‘~했던 일 전체’를 하나의 단어처럼 다루어, 그 전체를 문장의 명사 자리에 넣는 것이다.
📚 예문 3단계 (끊어 읽기 + 직역)
🔹 입문
Having seen the movie, I didn't want to watch it again.
→ (이미) 보았기 때문에 / 그 영화를, / 나는 / 보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 그것을 다시
🔹 중급
I regretted having said that to her.
→ 나는 / 후회했다 / 말했던 것을 / 그녀에게
🔹 고급
Having been betrayed once, she found it hard to trust again.
→ 배신당했던 / 한 번, / 그녀는 / 어렵다고 느꼈다 / 다시 믿기가
⚠️ 주의 포인트
1. ⏳ 시간의 앞뒤 관계가 핵심이다
완료동명사(having + p.p.)는 기준 시점보다 앞서 일어난 사건이나 상태를 표현한다. 즉, 문장에서 주절의 동작보다 먼저 일어난 일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이 개념을 이해하려면, 문장의 시점 구조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 완료동명사는 현재 시점에서 과거의 특정 사건을 꺼내어 설명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 구조는 사건의 '시간 순서'를 분명하게 표현한다.
- ✅ Having read the book, I understood the ending. (O)
→ 책을 먼저 읽었기 때문에, 나중에 결말을 이해했다는 흐름 - ❌ Having understood the ending, I read the book. (X)
→ 결말을 먼저 이해하고 나서 책을 읽었다는 비논리적 순서가 되어버림
2. 👤 의미상 주어가 같을 때만 분사구문으로 사용 가능
분사구문은 문장의 주어와 분사구문 속 행위 주체가 같을 때만 자연스럽게 사용된다.
이 규칙은 영어 문장에서 논리적 주체의 일치를 보장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다. 주절의 주어와 분사구문의 행위 주체가 다를 경우, 의미 왜곡이 생기거나 문장이 어색해진다.
- ✅ Having eaten lunch, she took a nap. (O)
→ 점심을 먹은 사람 = 낮잠을 잔 사람 → 일치 - ❌ Having eaten lunch, the dishes were washed. (X)
→ 점심을 먹은 주체는 사람이지만, 주절 주어가 '그릇들'? → 주체 불일치
3. 🌀 수동형(having been + p.p.)의 경우 주체 관계에 주의
완료동명사는 수동형(having been + p.p.) 구조로도 자주 쓰이며, 이때는 행위의 대상이 중심이 된다. 이 구조는 특히 감정이나 상태 변화, 또는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받은 경험을 표현할 때 유용하다.
그러나 문장 속에서 **그 영향을 받은 주체(=행위의 대상)**와 나머지 구조가 어색하지 않게 연결되어야 한다. 수동 구조임을 감안한 자연스러운 전개가 필요하다.
- She apologized for having been rude.
→ 과거에 무례했던 것에 대해 사과한 것 - Having been ignored, she felt angry.
→ 무시당했던 경험이 감정 반응으로 이어지는 흐름
✏️ 대표 응용 패턴 (예문 포함)
- Rather than having + p.p. → ~했던 것이 아니라
Rather than having shouted, he simply walked away.
- Despite having + p.p. → ~했음에도 불구하고
Despite having studied hard, she didn’t pass the test.
- After having + p.p. → ~한 후에
After having been rejected, he tried again.
- Apologize for having + p.p. → ~한 것을 사과하다
She apologized for having lied to them.
- Admit to having + p.p. → ~했다는 것을 인정하다
He admitted to having cheated on the exam.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
'아카이브 📚🎥:Further Reading & Viewing > 📂 동사의 확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동사비교 1. take vs. get (1) | 2025.04.28 |
---|---|
📘 수동태 (Passive Voice) (0) | 2025.04.08 |
📘 완료동명사 vs 과거완료 비교 정리 (0) | 2025.04.06 |
📘 현재분사구문 (Present Participle Clause) (1)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