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아카이브 📚🎥:Further Reading & Viewing/📂 조건과 가정의 언어적 상상력

📘 if의 또 다른 쓰임 2 | 명사절을 이끄는 if/ '~인지 아닌지'의 세계

by To Be or... Whatever 2025. 4. 15.

 

 

🔹 1. 이건! 조건문이 아니다🙄

If it rains, I’ll cancel the trip. → 조건문이다.
I wonder if it will rain. → 명사절이다.

 

→ 이 두 문장은 둘 다 if로 시작하지만, 기능이 완전히 다르다.

  • 앞 문장의 if는 “비가 올 경우”라는 조건을 제시하는 접속사다.
  • 뒤 문장의 if는 “비가 오는지 아닌지를” 궁금해하는 목적어 명사절이다.

즉, 이때의 if는

간접의문을 만들어주는 접속사 역할을 한다.


 

🔹 2. 간접의문이란?

 

영어에서 “~인지 아닌지”라는 표현은 직접 의문문으로도 쓸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간접화해서 말한다.

Will he come? → 직접 의문문
I wonder if he’ll come. → 간접의문문

 

이때 if는 **whether (~인지 아닌지)**와 같은 기능을 하지만,

회화에서는 if를 훨씬 더 많이 쓴다.

😎 📘 간접의문문이란 무엇인가?


 

🔹 3. 자주 쓰이는 명사절 if 문장 패턴

 

📌 I don’t know if she’s coming.
  그녀가 오는지 아닌지 나는 몰라.

 

📌 He asked if I was okay.
  그는 내가 괜찮은지 물었다.

 

📌 Let me know if you’re ready.
  준비됐는지 알려줘.

 

📌 I’m not sure if this is the right way.
  이게 맞는 길인지 확신이 안 들어.

 

→ 이때의 if는 문장에서 ‘~인지 아닌지’라는 의문 전체를 끌어오는 연결 고리다.


 

🔹 4. 조건의 if와 명사절 if의 비교 정리

 

→ 조건문은 앞에 무엇이 일어날 때 뒤가(조건이) 따라온다는 의미.

→ 명사절 if는 무엇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묻거나 표현할 때 사용.

 

 


📎 관련 아카이브

📎 if 조건문 총정리 ①~⑤편 링크 예정
📎 시제와 감정적 거리 (Meeting English as an Other 시리즈 연동)

 

 


 

📮 궁금하거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