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아카이브 📚🎥:Further Reading & Viewing/📂 조건과 가정의 언어적 상상력

📘 if 조건문 총정리 1- ③ | 가정법 과거완료 (Unreal Past)

by To Be or... Whatever 2025. 4. 13.

 

🔹 1. 왜 had + p.p.를 쓰는가?

— 과거를 되돌리는 상상

 

 If I had known, I would’ve acted differently.
     알았더라면, 다르게 행동했을 거야.

 

이 문장은 이미 끝난 과거를 전제로 한다.
‘지금’이 아닌, '그때'로 돌아가서 ‘그랬다면’ 하고 되짚는다.

그래서 영어는 여기서 'had + p.p.'를 사용한다.
→ 이건 과거를 수정하려는 상상이다.
(It's not a memory. It's a correction imagined.)


 
 

🔹 2. 가정법 과거완료의 구조는 어떻게 생겼는가?

If + had + p.p., 주어 + would/could/might have + p.p.
    (If I had studied more, I would have passed.)
If we had left earlier, we wouldn’t have missed the train.
  우리가 더 일찍 출발했다면, 기차를 놓치지 않았을 거야.
If she had told me, I could have helped.
  그녀가 나에게 말했다면, 도와줄 수도 있었어.

     → 이건 이미 지나간 일을 되짚는 회상의 조건문이다.
          (Used to imagine a different past outcome)


✦ 참고: 혼합 조건문은 여기서 시작된다
  • 과거의 조건(if절)은 'had + p.p.'인데,
  • 결과는 '지금'에 영향을 주는 구조
📌 If I had studied design, I’d be working at an agency now.
  디자인을 공부했더라면, 지금은 에이전시에서 일하고 있을 텐데.

→ 이를 **혼합 조건문(Mixed Conditional)**이라 하며,
현실 조건과 과거 회상이 뒤섞인 구조로, 의미는 더 복합적이 된다.

 


 
 

🔹 3. 자주 쓰이는 확장 표현

 
📌 If only ~
  👉 ~했더라면! (강한 아쉬움)
   If only I had listened to her.
    그녀 말 좀 들을 걸.
 
📌 Had I known ~
  👉 (도치 표현) 내가 알았더라면
  Had I known it was you, I would’ve answered.
    그게 너였는지 알았더라면 받았지.
 
📌 If I had just ~
  👉 단 하나만 달랐다면
   If I had just waited one more minute…
    딱 1분만 더 기다렸더라면…


 

 

🔗 관련 아카이브

 

📘 if 조건문 총정리 1- ② | 가정법 과거 (Unreal Present)

📘 if 조건문 총 정리 ⑤ | if의 확장 – 감정과 의미의 변주"조건이 아닌 조건

 

 

 

 

 


 
 
 

📮 궁금하거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