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be sure, that kind of wife, and that kind of lifestyle, did mean that I was unlikely to find my days particularly stimulating." — Han Kang, The Vegetarian (tr. Deborah Smith)
"사실, 그런 아내와 산다는 게 그다지 재미있는 일일 리는 없었다."-한강, <채식주의자>
🛠️ Practical Grain — 실용의 결
😎 To be sure, / that kind of wife / and that kind of lifestyle / did mean / that I was unlikely / to find my days / particularly stimulating.
(확실히 말하자면, / 그런 아내는 / 그리고 그런 생활 방식은 / 의미했다 / 내가 가능성이 낮았다는 것을 / 나의 일상들을 발견할 / 특별히 자극적인 것으로)
🔍 ① To be sure — 담화 표지
📌 To be sure는 영어 담화에서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는 중요한 담화 표지(discourse marker)로, 주로 "확실히 말하자면", "틀림없이"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실제로는 **앞뒤 문장을 연결하면서 말하는 이의 '입장 정리' 혹은 '양보적 강조'**의 기능을 수행한다.
- 보통 역접 또는 반전이 이어지는 문장에서 균형을 잡기 위한 장치로 등장함
- 또는 말을 시작할 때 확신을 전제로 깔아 두고 진술을 이어가는 표현
- 영국식 영어에서 특히 신중함과 완곡함을 더해주는 표현으로 자주 등장함
아래는 그 사용을 5단계 난이도로 예문 화한 것:
- To be sure, / it's raining.
- (확실히 말하자면, / 비가 오고 있다)
- To be sure, / she looked calm.
- (확실히 말하자면, / 그녀는 침착해 보였다)
- To be sure, / he was polite, / but not friendly.
- (확실히 말하자면, / 그는 예의 바르긴 했지만, / 다정하진 않았다)
- To be sure, / the plan has benefits, / though it also has risks.
- (확실히 말하자면, / 그 계획은 이점이 있다, / 하지만 위험성도 있다)
- To be sure, / her intentions were good, / even if her actions / ended up hurting people.
- (확실히 말하자면, / 그녀의 의도는 좋았다, / 비록 그녀의 행동이 (~하게 했더라도) / 결국 사람들을 다치게 했(더라도))
🔍 ② That kind of ~ — 평가형 반복 구문
📌 That kind of ~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을 유형화하고 평가하는 표현이다.
- That kind of는 말하는 사람이 어떤 것을 '특정한 카테고리'로 간주하며, 대개 비판적이거나 분류적인 어조를 지닌다.
- 두 번 반복 사용될 경우 (as in "that kind of wife, and that kind of lifestyle") → 의도적인 강조로 읽힌다. 이는 화자가 일상에 대해 일정한 판단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
- 자주 쓰이는 맥락: 인간 유형, 생활 방식, 태도, 성격, 습관 등
아래는 문맥에 따른 뉘앙스를 감지할 수 있도록 난이도별로 구성한 예문들이다:
- That kind of man / is rare.
- (그런 종류의 남자는 / 드물다)
- I don't like / that kind of humour.
-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 그런 종류의 유머를)
- That kind of job / requires / discipline.
- (그런 종류의 직업은 / 요구한다 / 절제를)
- She was tired of / that kind of behaviour / at work.
- (그녀는 지쳐 있었다 / 그런 종류의 행동에 / 직장에서)
- He couldn't handle / that kind of pressure / from both his family and his boss.
- (그는 감당할 수 없었다 / 그런 종류의 압박을 / 그의 가족과 상사 양쪽으로부터)
🔍 ③ did mean — do-support 강조
📌 영어에서 did + 동사원형 구조는 과거 시제를 쓸 때 강조를 위한 문법적 장치로 사용된다.
- 일반적으로 긍정문에서 did를 굳이 쓰지 않아도 되지만, 화자가 어떤 사실을 정말로 강조하고자 할 때 did를 사용함
- 특히 감정이나 입장을 강조할 때 효과적이며, 논박, 반론, 확신을 나타낼 수 있음
- 영국식 대화체에서도 자주 등장하며, 정중한 강조와 감정의 진위를 전달하는 데 적절함
아래 예문들을 통해 문장 안에서의 정서적 강조 효과를 파악해 보자:
- I / did see / her.
- (나는 / 정말로 보았다 / 그녀를)
- He / did try / his best.
- (그는 / 정말로 노력했다 / 최선을 다해)
- She / did want / to come, / but couldn’t.
- (그녀는 / 정말로 원했다 / 오기를, / 그러나 못 왔다)
- The book / did change / my thinking.
- (그 책은 / 실제로 바꾸었다 / 나의 사고를)
- That decision / did have / long-term consequences / no one foresaw.
- (그 결정은 / 정말로 초래했다 / 장기적인 결과들을 / 아무도 예견하지 못했던)
🔍 ④ unlikely to find A B — 가능성 + 인지 구조
📌 be unlikely to ~는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낮음을 표현하는 대표 구조이다. 여기에 find A B 구문이 결합되면, A를 B 하다고 인지할 가능성이 낮다는 보다 복합적인 의미가 된다.
- find A B → A를 B하다고 여기다, 느끼다
- be unlikely to find A B → A를 B하다고 느낄 가능성이 낮다
→ 감정·경험·판단에 대한 부정적 예감 또는 인식 결핍을 전달할 때 자주 쓰임 → 본문의 I was unlikely to find my days particularly stimulating은 무자극한 삶에 대한 체념적 서술로 작용함
아래 예문들을 통해 이 구조가 감정적 거리, 예측, 혹은 인지 패턴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확인해 보자:
- He / is unlikely / to win.
- (그는 / 가능성이 낮다 / 이길)
- She/’s unlikely / to agree.
- (그녀는 / 동의할 가능성이 / 낮다)
- We / are unlikely / to meet again.
- (우리는 / 가능성이 낮다 / 다시 만날)
- He’/s unlikely / to find the place / interesting.
- (그는 / 가능성이 낮다 / 그 장소를 / 흥미롭다고 느낄)
- They were / unlikely / to consider the outcome / positive / without clear evidence.
- (그들은 / 가능성이 낮았다 / 그 결과를 / 긍정적으로 여기기에 / 명확한 증거 없이는)
🔍 ⑤ particularly stimulating — 감정적 강조 표현
📌 particularly는 강조 부사로, 어떤 성질이나 감정의 강도를 두드러지게 만들기 위한 표현이다. 주로 감정 형용사와 함께 쓰이며, 주관적 인상이나 경험을 강조할 때 자주 등장한다.
- stimulating은 ‘자극적인’, ‘흥미로운’이라는 의미로, 정신적 자극뿐 아니라 감각적 활기와 내면의 반응까지 포함할 수 있음
- 따라서 particularly stimulating은 단순히 재미있다는 표현이 아니라, 지속적인 자극이나 생기 있는 감정 상태를 의미함
→ 본문에서는 이 표현을 부정형으로 사용하여 (unlikely to find…particularly stimulating) 삶의 무감각과 단조로움을 강조하고 있음
아래 예문들은 이러한 강조 구조가 문장에서 어떻게 감정적 톤을 강화하는지를 보여준다:
- It’/s particularly hot / today.
- (오늘은 / 특히 덥다 / 오늘)
- That / was particularly hard / for him.
- (그것은 / 특히 힘들었다 / 그에게)
- This book / is particularly important / in this field.
- (이 책은 / 특히 중요하다 / 이 분야에서)
- She finds / that kind of music / particularly soothing.
- (그녀는 느낀다 / 그런 종류의 음악이 / 특히 진정된다고)
- He didn’t find / the conversation / particularly stimulating / despite the lively topic.
- (그는 느끼지 못했다 / 그 대화를 / 특별히 자극적으로 / 활기찬 주제였음에도 불구하고)
🌿 Emotional Grain – 감정의 결
지루함은 어느새 내게 익숙한 감정이 되어 있었다.
확실히 말하자면, 내 아내의 조용하고 조신한 성격, 그리고 그에 따른 생활 방식은 내가 하루하루를 특별히 흥미롭게 느끼지 못하게 만들었다.
이 문장은 스스로의 삶을 객관화하는 화자의 무심한 톤 속에, 약간의 체념과 자조가 스며 있다.
그는 아내나 삶의 방식 자체를 원망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To be sure"**라는 양보의 접속사처럼, 그는 이 현실을 인정하고 있으며,
**"did mean"**이라는 강조 속에 그 자각의 무게를 실어 전달하고 있다.
**"particularly stimulating"**이라는 말은 표면적으로는 부드럽지만,
그 부드러움 속에 *‘이토록 자극 없는 하루들’*이라는 공허함이 녹아 있다.
자극이라는 단어가 굳이 쓰인 것은, 그가 무엇을 갈망하고 있었는지를 역으로 보여준다.
🌌 Advanced Resonance – 실력자를 위한 감상의 포인트
- **"did mean"**을 굳이 강조한 이유는 무엇일까?
- 그는 현실을 받아들이는 듯하면서도, 그 현실이 불러오는 감정은 결코 사소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 강조된 "did"는 언뜻 문법적 장치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무감각한 일상의 진실성을 드러내는 리듬이다.
- "that kind of wife" / "that kind of lifestyle"
- 반복된 "that kind of ~"는 정서적으로 거리두기를 의미한다.
- 그의 삶의 주체이면서도, 화자는 자신과 그 삶을 미묘하게 분리하고 있다.
- 이는 **감정적 분리(disassociation)**의 언어적 표출이며, 곧 내면화된 소외감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 To be continued… Episode 09
“In order to judge whether she might possibly have been trying to tell me something, I spent a minute or two looking at her through new eyes, studying her attitude."
말을 건넨 것인지 아닌지를 가늠해 보기 위해 나는 아주 잠깐, 그녀를 낯선 눈으로 바라보았다. 그녀의 태도를 읽어내려고 애쓰면서.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
'🕊️ Between Language and Reso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he Vegetarian | Ep.10-might possibly have been..,복합조동사 (0) | 2025.03.31 |
---|---|
🕊️ The Vegetarian | Ep.09-if I'd had one of those/가정법과거완료 (4) | 2025.03.31 |
🕊️ The Vegetarian | Ep.07-For some unfathomable reason… — 감정의 몰입과 immerse의 결 (3) | 2025.03.30 |
🕊️ The Vegetarian | Ep.06-She would shut herself up...조동사 would의 결 (2) | 2025.03.30 |
🕊️ The Vegetarian | Ep.05-a few words (1)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