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If Only4

📘 if 조건문 총 정리 1- ⑤ | if의 확장 – 감정과 의미의 변주"조건이 아닌 조건문이 시작될 때" 🔹 1. 왜, 이건 조건문이 아닌가? 이 문장에서의 if는 '논리적 조건'이 아니다.대신, 감정, 상상, 비유, 태도를 표현하는 장치로 쓰인다.📌 예What if it never ends?  만약 이게 끝나지 않는다면?Even if it’s hard, I’ll try. 아무리 힘들어도, 나는 해볼 거야.If only I had told you…내가 너한테 말만 했더라면…He talks as if he owned the place. 자기가 주인인 양 말하더라.→ 이런 문장들은 실제 조건을 가정하는 게 아니라, 감정, 소망, 상상, 혹은 반어적 태도를 전달한다.😎: 🌿 If는 왜 감정을 담기 시작했을까? — 조건의 틀, 감정의 여백   🔹 2. 주요 표현 정리What if우려, 상상What if i.. 2025. 4. 15.
🌿 If는 왜 감정을 담기 시작했을까? — 조건의 틀, 감정의 여백 👀 If는 왜 감정을 담기 시작했을까?영어에서 if는 원래 아주 단순한 역할을 했어요.“만약 A라면, 그 결과로 B가 된다” 같은 조건문에서현실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도구였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if는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쓰이기 시작합니다.사람들이 현실이 아닌 상황을 상상하거나, 마음속 감정을 표현할 때도 if를 사용하게 된 거죠.예를 들어, 누군가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If only I could see her again. (그녀를 다시 볼 수만 있다면)What if I never find out the truth? (내가 진실을 영영 알지 못한다면?)이런 문장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이 아니에요.하지만 사람들은 if를 통해 현실 밖에 있는 감정과 가능성을 말하기 시작했어요.그게 두려움이든, 후.. 2025. 4. 13.
📘 if 조건문 총정리 1- ③ | 가정법 과거완료 (Unreal Past) 🔹 1. 왜 had + p.p.를 쓰는가?— 과거를 되돌리는 상상  If I had known, I would’ve acted differently.     알았더라면, 다르게 행동했을 거야. 이 문장은 이미 끝난 과거를 전제로 한다.‘지금’이 아닌, '그때'로 돌아가서 ‘그랬다면’ 하고 되짚는다.그래서 영어는 여기서 'had + p.p.'를 사용한다.→ 이건 과거를 수정하려는 상상이다.(It's not a memory. It's a correction imagined.)  🔹 2. 가정법 과거완료의 구조는 어떻게 생겼는가?→ If + had + p.p., 주어 + would/could/might have + p.p.    (If I had studied more, I would have passed.. 2025. 4. 13.
📘 가정법 과거 | Unreal Present 1. 정의와 핵심 개념**가정법 과거 ( Unreal Present / Conditional Present )**는현실에서 사실이 아닌 상황, 즉 현재의 사실과 다른 가상의 조건을 상상할 때 사용하는 문법 구조다. 'Unreal Present'라는 이름에서 직관적으로 알아채야 한다. 현실과 다르거나 불가능한 것을 상상함감정, 판단, 후회, 제안 등에서 자주 사용주로 if절, as if / as though절, wish절, would rather절 등에서 나타남2. 기본 구조절 종류구성예시if절If + 주어 + 과거동사If I knew the answer, I would tell you.wish절I wish + 주어 + 과거동사I wish I had more time.as if / as though절주어 .. 2025.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