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아카이브 📚🎥:Further Reading & Viewing45

📘 if 조건문 총 정리 1- ④ | 혼합 조건문 (Mixed Conditional)"그때 다른 선택을 했다면, 지금은 어땠을까?" 🔹 1. 혼합? 그게 뭔데? — 시제가 어긋난 조건과 결과 If I had studied medicine, I’d be a doctor now.  내가 의대를 갔더라면, 지금은 의사일 텐데. 이 문장은 과거의 사실을 바꾸고 싶다는 상상에서 출발한다.그리고 그 결과는 지금이다.→ 영어는 이렇게 과거와 현재가 얽힌 조건문을 만들 때, 시제를 섞는다.😎보충설명:📘 “시제가 섞인다” = '한국식 문법 설명'. 오해를 통한 이해  여기서 주절에 사용되는 would + 동사원형은 문법적으로는 현재 시제가 아니지만, 화자의 말하는 시점은 지금이다.  즉, would be는 지금 이 순간, 현실과는 다른 가능성을 그리는 말하기 방식이다.현재에 대한 상상이자, 이미 어긋난 감정의 리허설이다.It is a rehea.. 2025. 4. 14.
🌿 If는 왜 감정을 담기 시작했을까? — 조건의 틀, 감정의 여백 👀 If는 왜 감정을 담기 시작했을까?영어에서 if는 원래 아주 단순한 역할을 했어요.“만약 A라면, 그 결과로 B가 된다” 같은 조건문에서현실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도구였죠.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if는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쓰이기 시작합니다.사람들이 현실이 아닌 상황을 상상하거나, 마음속 감정을 표현할 때도 if를 사용하게 된 거죠.예를 들어, 누군가 이렇게 말할 수 있어요:If only I could see her again. (그녀를 다시 볼 수만 있다면)What if I never find out the truth? (내가 진실을 영영 알지 못한다면?)이런 문장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이 아니에요.하지만 사람들은 if를 통해 현실 밖에 있는 감정과 가능성을 말하기 시작했어요.그게 두려움이든, 후.. 2025. 4. 13.
📘 if 조건문 총정리 1- ③ | 가정법 과거완료 (Unreal Past) 🔹 1. 왜 had + p.p.를 쓰는가?— 과거를 되돌리는 상상  If I had known, I would’ve acted differently.     알았더라면, 다르게 행동했을 거야. 이 문장은 이미 끝난 과거를 전제로 한다.‘지금’이 아닌, '그때'로 돌아가서 ‘그랬다면’ 하고 되짚는다.그래서 영어는 여기서 'had + p.p.'를 사용한다.→ 이건 과거를 수정하려는 상상이다.(It's not a memory. It's a correction imagined.)  🔹 2. 가정법 과거완료의 구조는 어떻게 생겼는가?→ If + had + p.p., 주어 + would/could/might have + p.p.    (If I had studied more, I would have passed.. 2025. 4. 13.
📘 “시제가 섞인다” = '한국식 문법 설명'. 오해를 통한 이해 ✅ 한국 문법 설명에서 “시제 섞임”이란?한국에서 영어를 배울 때“조건절은 과거완료, 주절은 현재 결과 → 시제가 ‘불일치’하거나 ‘섞였다’” 이런 식으로 설명하면서 **‘시제가 서로 다르다 = 섞였다’**는 개념을 만들어낸 것🤔영어권에서는 → “a past condition with a present result” → “Mixed Conditional = time mismatch” 같은 설명은 있어도 “The tenses are mixed.”라는 용어는 문법서의 표제어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고. 🧭 그래서 “시제가 섞인다”는 표현은?한국어 학습자에게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해설용 표현이고실제 영어 문법 체계에서는 그보다 “timeline divergence”, 또는 “condition-resu.. 2025. 4. 13.
📘 if 조건문 총정리 1- ② | 가정법 과거 (Unreal Present) 🔹 1. if는 왜 과거형을 쓰는가? — 현실에서 멀어진 조건의 언어 📌 If I were you, I’d wait.  내가 너라면, 기다릴 거야. 이 문장은 '지금 이 현실'을 말하는 게 아니다.영어는 지금과 다른 상상을 표현할 때 과거형을 사용한다.  하지만 실제 시간은 '지금'이다.(It's not about time. It's about distance from reality.) → 현실과는 다른 상황을 전제로 한 가정이다.가능성이 낮거나, 실제로는 일어날 수 없는 '상상 속 조건'을 표현한다.  🔹 2. 가정법 과거의 구조는 어떻게 생겼는가? 📌 구조 요약 If + 주어 + 과거형, 주어 + would/could/might + 동사원형(If I knew her, I would say he.. 2025. 4. 12.
📘 if 조건문 총정리 1- ① | 현실 조건 (Real Condition) 🔹 1. if는 언제 현재형을 쓰는가? — 가장 가까운 조건의 시제 감각 📌 If it rains, we’ll cancel the trip.  비가 오면, 우리는 여행을 취소할 것이다.이 문장은 단순한 예측이 아니라, 가능성을 전제로 한 행동 계획을 보여준다. 영어에서 현실 조건은 '지금은 아니지만 곧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하고, 그 가능성이 충분히 현실적일 때 '현재형'을 사용한다. 즉, 영어는 현재형을 통해 상황을 **‘대기 상태’**로 둔다.(It's likely to happen, but hasn't yet. It's waiting to be triggered.) 📌 If you study, you pass.  공부하면, 합격한다.📌 If it rains, we’ll stay in... 2025.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