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 Expression Archive

📎 make out🔨

by To Be or... Whatever 2025. 4. 22.

Unsplash 의 Ramin Talebi

🧭 make + out 조합을 해부해보자

1. 🔨 make의 기본 개념: “형성하다, 만들어내다”

  • 단순히 제조하다(create) 이상의 뉘앙스를 품고 있음.
  • 뭔가 없던 것을 ‘형태로 만드는’ 능동적, 창조적 행위.
  • 변화의 에너지를 가짐. → “I’ll make it work.” = 난 이걸 어떻게든 되게 만들 거야.

📎 감각 이미지:

점토 같은 무형의 재료에서 형태를 빚어내는 손.
무정형 → 형상화로 향하는 힘.


2. 🚪 out의 기본 개념: “바깥으로, 드러남, 분리됨”

  • 단순히 위치만 말하는 게 아님. 어떤 것의 내면에서 외부로 나가는 방향성.
  • 감춰진 것 → 겉으로 드러남
  • 내부에서 정리된 힘 → 바깥을 향해 퍼짐

📎 감각 이미지:

어두운 방에서 문을 열고 나가는 사람.
또는, 안에서 생겨난 감정/형태가 밖으로 ‘나가는’ 운동성.


🔗 그래서, make out = “형성해서 밖으로 드러내는 것”

→ 여기서 모든 파생 의미가 나와.
무언가를 분명히 인식하거나, 구체화하거나,
밖으로 표현하거나, 겉으로 드러나게 하거나,
신체적 행위로 발산하거나
→ 결국은 **“막연한 것 → 뚜렷한 형상으로 외화”**되는 움직임.


📘 응용 감각 정리: 이렇게 연결돼

조합해석감각적 사고 흐름
make + out (road sign) 간신히 알아보다 흐릿한 것을 형태로 만들어 밖으로 인식함
make + out (문서) 작성하다 개념을 형식화하여 외부에 드러냄
make + out (with her) 키스하다 감정을 형상화하여 접촉으로 발산
make + out (상황) 잘 지내다 복잡한 상황에서 모양을 만들어 내며 외화
make + out (말/태도) 주장하다 (없는 내용도) 만들어내어 겉으로 표명함

✨ 요약 문장

“make out”은 안개 속의 형상을 손으로 빚어,
그것을 바깥 세상에 내보내는 손짓이다.

 

 

 

🔍  “make out” – 이 모든 뜻이 한 덩어리 안에?

“make out”은 일상 영어에서 정말 다양하게 쓰이는 다의어 표현입니다. 특히, 전후 맥락과 전치사, 어조에 따라 뜻이 크게 달라지며, 때로는 추론적이고 때로는 감각적이며 때로는 로맨틱하기까지 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 다양한 쓰임새를 정리하고, 각 의미를 감각적으로 분해해 보겠습니다.


🧾 주요 의미별 분류와 예문

1. 이해하다, 알아보다 (to discern or perceive)

🔹 의미: 시야가 불명확하거나 소음 등으로 인해 어렵지만 ‘간신히 알아보다, 이해하다’는 의미
🔹 구문 구조: make out + 명사 (or wh-clause)

🔸 I could barely make out the road sign through the fog.
→ 안개 속에서 간신히 도로 표지판을 알아볼 수 있었다.

🔸 I can’t make out what he’s saying.
→ 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들을 수가 없어.

📘 여기서 ‘make’는 ‘형성하다’, ‘out’은 바깥으로 드러냄 → 뭔가 흐릿한 걸 ‘형태화해서 바깥으로 뽑아내는’ 느낌.


2. (서류, 수표 등을) 작성하다 (to write or fill in)

🔹 의미: 공식 문서, 수표, 양식 등을 기입하여 작성하는 행위
🔹 구문 구조: make out + 문서 종류 + to + 사람

🔸 Please make the check out to “Sunrise Books”.
→ 수표 수취인을 ‘Sunrise Books’로 적어주세요.

📘 이때 out to + 사람은 ‘누구에게로 향하는’ 방향성을 부여.


3. (사정이) 잘 되어가다, 살아가다 (to manage or succeed)

🔹 의미: 상황에 따라 ‘잘 지내다, 어떻게든 되다’의 의미로 확장
🔹 구문 구조: make out (okay/all right/well)

🔸 How did you make out in your new job?
→ 새 직장에서 잘 적응하고 있어?

🔸 She’s making out just fine on her own.
→ 그녀는 혼자서도 꽤 잘 지내고 있어.

📘 이 표현은 문맥상 “살아남다”나 “버티다”의 뉘앙스로도 자주 쓰여.


4. 주장하다, 말하다 (to claim or pretend)

🔹 의미: 어떤 사실을 강하게 주장하거나 혹은 꾸며 말하는 의미
🔹 구문 구조: make out (that) S + V

🔸 He made out that he was an expert, but clearly he wasn’t.
→ 그는 자기가 전문가라고 주장했지만, 명백히 아니었어.

🔸 Don’t make out like you had nothing to do with this!
→ 너랑 아무 상관 없는 척하지 마!

📘 억지 주장이나 방어적 태도와 함께 등장 → 감정적 강조가 동반되기 쉬움.


5. 애정 행위(키스하다) (to kiss and caress intimately)

🔹 의미: 연인 간의 키스와 스킨십에 해당하는 표현
🔹 구문 구조: make out (with someone)

🔸 They were making out in the back of the car.
→ 그들은 차 뒷좌석에서 키스를 나누고 있었다.

🔸 Have you ever made out with someone at a party?
→ 파티에서 누군가와 키스해본 적 있어?

📘 미국식 일상 대화에서 자주 등장하며, 약간은 속어적 느낌.


6. (문서 등을) 간신히 읽다 (to read with difficulty)

🔹 의미: 흐릿하거나 훼손된 글자 등을 가까스로 해석하는 상황
🔹 구문 구조: make out + 글자/문장/기록

🔸 I could just make out the faded inscription on the tombstone.
→ 묘비에 희미하게 새겨진 글을 간신히 읽을 수 있었어.

📘 1번 ‘간신히 알아보다’와 유사하지만, 여기는 시각적 인지보다는 ‘문자 해독’에 초점이 있음.


7. 결과를 이끌어내다 (to deal with a situation)

🔹 의미: 결과적으로 어떤 일이 어떻게 되었는지, 또는 결과를 이루다
🔹 구문 구조: make out + well/badly/etc.

🔸 It remains to be seen how the negotiations will make out.
→ 협상이 어떻게 결론이 날지는 두고 봐야 해.

📘 결과적 해석 → 결과물이 어떻게 나올지 판단하는 구조에서 사용됨.


🌿 감각적 정리

의미 중심 개념 감각 이미지
알아보다 흐릿함 → 형태화 안개 속에서 형태를 끄집어냄
작성하다 형태 → 기록화 빈 종이에 내용을 ‘형성’
잘 지내다 상황을 뚫고 나감 out: 어려움 속에서 빠져나옴
주장하다 없는 걸 만들어냄 거짓 형성을 밖으로 드러냄
키스하다 감정 → 물리 접촉 감정이 out되어 물리화됨
읽다 퇴색된 것에서 의미를 뽑음 바랜 글자를 복원
결과나다 처리 → outcome 결과(out)가 형성됨(make)

 

 

 


📮 궁금하거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

'📎 Expression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filter through'  (0) 2025.04.25
📎 Wind"의 의미 확장: 물리적 동작에서 심리적, 사회적 종료로  (1) 2025.04.23
📎 'filter through'  (1) 2025.04.17
📎 'reach out'  (0) 2025.04.16
📎 'be taken aback'  (0)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