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vertheless, considering I knew for a fact that there were plenty of other women who, unlike her, didn't have anything particularly against bras, I began to have doubts about this hypersensitivity of hers.”
— The Vegetarian by Han Kang, translated by Deborah Smith
⚔️ Practical Grain – 실용의 결
🔍 끊어 읽기 / 구조적 직역
Nevertheless, / considering I knew for a fact / that there were plenty of other women
/ who, unlike her, / didn't have anything particularly / against bras,
I began to have doubts / about this hypersensitivity of hers.
➤ 직역:
그럼에도 불구하고, / 내가 확실히 알고 있었던 점을 고려(하더라도) / 많은 다른 여성들이 있었다는 것을
/그녀와는 다른, 누구 / (누구냐면~) 특별히 거부감이 없는/ 브라에 대해,
나는 의심하기 시작했다 / 그녀의 이 예민함에 대해.
✨ 자연스러운 의역:
그래도, 그녀 말고도 브래지어에 딱히 거부감 없는 여자가 많다는 걸 분명히 알고 있었기에,
난 그녀의 이런 과민한 반응이 정말 그런 건지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
🔧 문장 구조 포인트
[문두 연결어]
Nevertheless ⭢ 앞 문장과 논리·감정 전환을 나타냄
[조건 구문: considering 절]
considering ⭢ "~을 고려하면" 의미의 분사구문
└── I knew for a fact ⭢ 단순 지식이 아닌 확신: "논쟁의 여지가 없는 사실로 알고 있었다"
└── that there were plenty of other women
⭢ 많은 다른 여성들이 존재함
└── who, unlike her, ⭢ 그녀와는 달리 (비교의 초점)
└── didn't have anything particularly against bras
⭢ 브래지어에 특별한 반감이 없는 (부정 강조 + 관용 표현)
[주절]
I began to have doubts ⭢ 감정적 판단이 시작되는 주절
└── about this hypersensitivity of hers
⭢ 일반 소유가 아닌 강조형 소유구문: 그녀의 이 예민함
⭢ “거리감 + 평가 태도”를 담고 있는 관찰자 화법
Nevertheless | 앞 문장의 내용과 대비되는 전환. “그럼에도 불구하고” |
considering + 절 | 원인·조건을 나타내는 분사구문. “~을 고려하면” |
I knew for a fact | 확실하게 알고 있다는 강조 표현 |
plenty of other women who… | 관계절 포함된 복합 명사구 |
didn’t have anything particularly against bras | 부정 강조 + 관용 표현 (have something against) |
this hypersensitivity of hers | 소유격 강조 구조 (this + 명사 + of + 소유대명사) |
🧾 주요 어휘와 표현 분석
- Nevertheless
→ “그럼에도 불구하고” / 역접 전환 표현
앞 문장의 논리를 잠시 끊고, 새로운 판단을 제시할 때 사용 - considering I knew for a fact
→ “내가 확실히 알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여기서 considering은 전치사처럼 쓰인 분사구문 → 이유 또는 전제 강조 - “I knew for a fact”
→ 나는 확실히 알고 있었다
→ 나는 사실이라고 확신했다🔹 I know. (나는 안다.)
🔹 I know for a fact. (내가 아는 건 단순 지식이 아니라, 검증된 사실이야.): 여기서 for a fact는 단순히 “알다”가 아니라,
➤ 논쟁 여지가 없는 명확한 사실임을 직접적으로 주장하는 방식이야.
- have something against (명사)
→ “~에 반감을 갖다 / 싫어하다”
→ 부정형으로 쓰이면 *“전혀 반감이 없다”*라는 뜻 (didn’t have anything particularly against…) - this hypersensitivity of hers
→ 강조형 소유구조
→ 직역: “그녀의 이 과민함”
→ 감정적 거리 강조: 평범한 소유격보다 냉정하고 분석적인 어조
🧾 추가 해설 1:분사구문: considering + 절
분사구문은 원인·조건·전제를 간단히 표현할 때 쓰이며,
이 경우 considering (that) S + V 형태로 해석 가능.
🔍예문 3단계 (끊어 읽기 + 직역)
[입문]
Considering the weather, we stayed home.
Considering / the weather, / we / stayed / home
날씨를 / 고려하면, / 우리는 / 머물렀다 / 집에
[중급]
Considering he was sick, he did quite well.
Considering / he was / sick, / he / did / quite well
그가 / 아팠다는 것을 / 고려하면, / 그는 / 꽤 잘했다
[고급]
Considering they had no prior experience, their performance was impressive.
Considering / they had / no prior experience, / their performance / was / impressive
그들이 / 아무런 경험이 / 없었다는 것을 / 고려하면, / 그들의 성과는 / 인상적이었다
🧾 추가 해설 2: for a fact – 강조 부사구 + 관용 표현
for a fact | 확실한 사실로 | 판단의 신뢰성과 객관성 강조 |
I knew for a fact | 나는 확실히 알고 있었다 | → 단순한 인상이 아니라, 근거 있는 확신 전달 |
I know for a fact that... | 나는 분명히 알고 있어, ~라는 걸 | → 뒤따르는 사실에 정서적 무게를 실어주는 서술 장치 |
🔍 이 표현은 보통 논리적 근거 or 직접 관찰에 기초한 확신을 표현할 때 사용됨
→ 즉, “내가 믿는 게 아니라, 이건 사실이야.”
📎 자주 쓰이는 표현들:
I know for a fact he lied.
She said it, and I know for a fact she meant it.
You were there—I know that for a fact.
🧾추가 해설 3: this hypersensitivity of hers – 소유격 강조 구조
일반형 | her hypersensitivity | → 그녀의 예민함 (중립적 표현) | |
강조형 | this hypersensitivity of hers | → 그녀의 이 예민함 (냉정하거나 거리 둔 어조) |
“this + 명사 + of + 소유대명사” 구조는
- 분리된 시선(거리감 있는 화법)
- 정서적 평가가 덧붙여진 강조형
- 일반화가 아닌 특정 상황의 감정적 포착
That idea of yours... (네 그 생각 말이야...) → 거리감 + 판단
This attitude of his is getting worse. (쟤 저 태도 진짜 심해지는군.) → 감정이 개입된 관찰
📌 즉, 단순히 “her hypersensitivity”라 하지 않고
→ “this hypersensitivity of hers”라 했다는 건
→ 화자가 이미 판단의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드러냄.
지켜보고 있는 시선 + 감정적 거리 두기가 함축됨.
😎자세히 공부하기 링크: 📘 '명사 + of + 소유 대명사' 구조 해설
✍️ 전체 흐름 요약 정리
- “I knew for a fact...”
→ 논리적 근거 + 정서적 확신
→ 이후 이어지는 내용의 진정성과 신뢰도 확보 - “this hypersensitivity of hers”
→ 냉정한 관찰자 시점 + 감정 없는 분석처럼 보이는 판단
→ 그녀에 대한 거리를 전제한 화법
🌿 Emotional Grain – 감정의 결
🪞 감정의 결 하나 – 조용한 비교의 칼날
“plenty of other women who, unlike her…”
화자는 ‘다른 여성들’과 그녀를 비교함으로써,
감정 없는 분석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점점 멀어지는 정서적 거리를 암시한다.
"그녀만 유난스럽다"는 판단이 고요히 흐른다.
🪞 감정의 결 둘 – 인정하지 않으려는 회의의 틈
“I began to have doubts…”
begin to have는 갑작스러운 확신이 아닌,
천천히 파고드는 의심이다.
그녀의 예민함은 이제 이해의 대상이 아닌, 평가의 대상이 되어간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
'🕊️ Between Language and Reso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he Vegetarian | Ep.15- I had never considered/늘 한 발 늦는다 (0) | 2025.04.04 |
---|---|
🕊️ The Vegetarian | Ep.14- madly in love:긴 문장 구조 분석(2) (0) | 2025.04.03 |
🕊️ The Vegetarian | Ep.12-would be clearly visible...거리감 (0) | 2025.04.02 |
🕊️ The Vegetarian | Ep.11-So if not, was it laziness,가정법 과거부정 (0) | 2025.04.01 |
🕊️ The Vegetarian | Ep.10-might possibly have been..,복합조동사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