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 Between Language and Resonance

🕊️ The Vegetarian | Ep.14- madly in love:긴 문장 구조 분석(2)

by To Be or... Whatever 2025. 4. 3.

“We were approaching the five-year mark, and since we were never madly in love to begin with we were able to avoid falling into that stage of weariness and boredom that can otherwise turn married life into a trial.”
— The Vegetarian by Han Kang, translated by Deborah Smith

 

"올해로 결혼 오년차에 접어들었으나, 애초에 열렬히 사랑하지 않았으니 특별히 권태로울 것도 없었다."'-한강,<채식주의자>

 

⚔️ Practical Grain – 실용의 결


🔍 끊어 읽기 / 구조적 직역

We were approaching / the five-year mark,/
and / since we were never madly in love / to begin with
we were able to avoid / falling into that stage / of weariness and boredom /
that can otherwise turn / married life into a trial.

직역:
우리는 다가가고 있었다 / 결혼 5주년을 향해/
그리고 / 우리가 결코 미친 듯 사랑했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 처음부터 
우리는 피할 수 있었다 / 빠져드는 것을 / 그 단계로,/ 지루함과 권태의 /
(그 단계는) 그렇지 않았다면 바꿀수 있었던 / 결혼 생활을 시련으로.

 

✨ 자연스러운 의역:

결혼한 지 5년이 다 되어갈 무렵,
우리는 처음부터 뜨겁게 사랑한 사이는 아니었기에,
그 덕분에 오히려 지루함과 권태에 빠져
결혼 생활이 고통이 되는 단계를 피해갈 수 있었다.

     📌 핵심:

  • 시간 흐름 강조 → 결혼한 지 5년이 다 되어갈 무렵
  • 감정 결핍의 역설적 이점 → 뜨겁게 사랑한 사이는 아니었기에 / 그 덕분에 오히려
  • stage of weariness and boredom → 지루함과 권태에 빠져
  • married life into a trial → 결혼 생활이 고통이 되는

https://unsplash.com/ko/@anniespratt

🔩 문장 계층 구조 시각화 (⭢ 병렬 해설 포함)

[주절 1]  
We were approaching the five-year mark                      ⭢ 결혼 5주년이라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었다

[접속사]  
and since                                                   ⭢ 이유 접속사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 설명)

[이유 절]  
we were never madly in love                                 ⭢ 우리는 미친 듯 사랑한 적이 없었고  
└── to begin with                                            ⭢ 처음부터 (관계의 시작점 설명)

[주절 2]  
we were able to avoid                                       ⭢ 우리는 피할 수 있었다  
└── falling into that stage                                 ⭢ 그 단계로 빠지는 것을  
    └── of weariness and boredom                            ⭢ 지루함과 권태의  
        └── that can otherwise turn married life into a trial  
                                                             ⭢ 그렇지 않았다면 결혼을 시련으로 바꾸는 그 단계


🧾 주요 어휘와 표현 분석

  • approach
    → (자동사) 다가가다, 가까워지다 (시간·기념일에 자주 사용)
  • madly in love
    → 열정적으로, 미친 듯이 사랑하는 상태
    → 감정이 폭발하던 초기 연애 단계 암시
  • to begin with
    → 처음부터 / 애초에
    → 원인 또는 전제의 강조 표현
  • be able to avoid ~ing
    → ~하지 않도록 할 수 있었다
  • fall into a stage of ~
    → ~의 상태로 빠지다 / 특정 감정이나 삶의 국면에 들어감
  • can otherwise turn A into B
    → 그렇지 않으면 A를 B로 바꿔버릴 수 있다
    → 여기선 weariness and boredom이 married life를 a trial로 전환시킴

✅ 1. to begin with

🔹 왜 to begin with인가?

  • 여기서 to는 전치사가 아니라, **부사적 부정사구(to begin with 전체)**로 쓰인 표현이야.
  • 원래 형태는 “to begin (something) with” →
    어떤 이야기나 행위를 처음에 언급하거나 시작할 때 쓰이는 관용구야.

🔍 예문에서 구조:

  • “We were never madly in love to begin with
  • → 애초부터 그랬다는 의미
  • 이 표현은 **시간의 기점(time reference)**을 가리키며,
    동시에 논리의 출발점(logical starting point) 역할도 해.

📌 정리:

  • to begin with는 "시작부터"를 뜻하는 부사적 구
  • to는 “~하기 위해”가 아니라, 관용적 구문 안에서 쓰이는 구조

✅ 2. fall into

🔹 왜 into를 쓰는가?

  • fall은 자동사로 ‘떨어지다, 빠지다’라는 의미를 가질 때
    **“어디로 빠져드는가”**라는 방향성을 요구함 → 이때 전치사 into가 필요
  • into는 항상 **"안으로"**라는 이동·변화의 방향을 나타내는 전치사야.
    즉, 단순히 상태를 갖는 게 아니라 → **그 상태로 ‘빠져드는 과정’**을 포함함.

🔍 예문에서 구조:

  • “falling into that stage of weariness and boredom”
  • → ‘권태의 단계로 들어가는 과정’ 전체를 묘사

📌 정리:

  • fall + into = 변화된 상태로의 진입을 묘사하는 핵심 구조
  • fall to (X), fall in (X) → 의미가 완전히 다름

✅ 3. can otherwise turn

🔹 왜 otherwise가 중간에 오는가?

  • otherwise는 부사로,
    "다르게 했더라면 / 다른 경우였다면"이라는 조건적 가정을 표현함.
  • 이 부사는 **조동사(can, would, might)**와 함께 쓰일 때
    👉 일반적으로 조동사 뒤에 위치함
    → 이는 영어 어순상 조동사 + 부사 + 동사의 기본 어법을 따름

🔍 예문에서 구조:

  • “that can otherwise turn married life into a trial”
  • → 그렇지 않았더라면 결혼 생활을 시련으로 바꾸게 될 수 있는

📌 정리:

  • 영어에서 조동사(can) + 부사(otherwise) + 동사(turn) 구조는
    가능성과 조건을 동시에 표현하는 어순의 전형
  • otherwise는 부사지만, 위치상 can 뒤가 가장 자연스럽고 정형화된 자리

 

✅ 접속사 since – 이유 강조형

since는 시간 뜻도 있지만, 여기선 이유를 강조하는 접속사로 사용됨.
→ 왜 그런 결과가 나타났는가에 대한 배경 설명


예문 3단계 (끊어 읽기 + 직역)


[입문]
Since it’s raining, we’ll stay in.

  • Since / it’s / raining, / we’ll / stay / in
  • 비가 / 오니까 / 우리는 / 안에 / 머물 거야

[중급]
Since you’re tired, you should rest.

  • Since / you’re / tired, / you / should / rest
  • 네가 / 피곤하니까, / 넌 / 쉬는 게 좋겠어

[고급]
Since he wasn't invited, he didn't attend the meeting.

  • Since / he wasn't / invited, / he / didn't / attend / the meeting
  • 그가 / 초대되지 않았기 때문에 / 그는 / 참석하지 않았다 / 그 회의에

 

🌿 Emotional Grain – 감정의 결


🪞 감정의 결 하나 – 애정의 결핍이 평온을 낳다

“we were never madly in love to begin with”
그녀와의 관계는 애초에 불꽃처럼 시작된 게 아니다.
그 설레야할 시작에 아무런 격렬함이 없었기에,
과연 다가올 무너짐도 안정적일 것인가.


🪞 감정의 결 둘 – 지루함을 피해 안정으로?

“avoid falling into that stage of weariness and boredom”
이 문장은 표면적으로는 긍정적인 회피처럼 보인다.
그러나 "피했다"는 사실 안에는 그 단계가 '언제든 도달 가능한 위치에 있었다'는 암묵적 인정이 있다.
이 말 속에는 이미 이 관계가 '지루함'이라는 잠재적 위기와
늘 함께 있었다는 불편한 진실
이 흐른다.

 


 

 

 
📮 궁금하거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