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 Between Language and Resonance

🕊️ The Vegetarian | Ep.16- I'd been about to/그 찰나...

by To Be or... Whatever 2025. 4. 4.

"I'd been about to switch on the bathroom light when I was brought up short."
— The Vegetarian, tr. Deborah Smith

 

"나는 욕실의 불을 켜려다 말고 물었다."-한강,<채식주의자>


https://unsplash.com/ko/@benjamin_deyoung

 

🌿 Practical Grain – 실용의 결

 

I/ 'd been about to switch on / the bathroom light /  when I was brought up short.

“나는/ 켜려던 참이었다 / 욕실 불을 / 그때 갑자기 멈춰 서게 되었다.”

 

이 문장은 **과거완료진행형 (I'd been about to)**과 "brought up short" 표현을 다뤄야 하는 중요한 예시야.
우리가 이 문장에서 짚어봐야 할 포인트는 과거완료진행형갑자기 멈추게 하는 행동에 대한 뉘앙스야.


1. I'd been about to

이건 과거완료진행형 (had been + 동명사)으로, 특정 시간 직전에 무언가를 하려던 참이었다는 뜻이야.

  • I'd been about to → '하려던 참이었다'
  • 상상적, 순간적인 상황을 강조하는 표현

📌 예시

  • I’d been about to leave when the phone rang.
    (전화가 울리기 전, 나가려고 했었다.)
  • She had been about to speak when I interrupted her.
    (내가 그녀를 방해하기 전에 그녀는 말하려 했었다.)

2. when I was brought up short

brought up short'갑자기 멈추다', **'당황하다'**는 표현.
이 표현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갑자기 멈추거나 깜짝 놀라게 되는 상황에서 사용돼.

  • brought up up이 포함되어 있어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직전에 멈추는 느낌을 준다.
  • short 짧게, 갑자기 멈췄다는 뜻을 포함하고 있어.

 

📌 예시

  • The car was brought up short by a sudden stop sign.
    (차는 갑작스러운 정지 신호에 의해 멈췄다.)
  • He was brought up short by her unexpected question.
    (그는 그녀의 예상치 못한 질문에 당황했다.)

😎📎 Expression Archive | 'be brought up short'


 

📚 "I'd been about to" 설명

 

    "I'd been" = 과거완료진행형 (had been)
       → **"I had been"**는 과거의 특정 시점 이전까지 계속 진행된 상태를 의미.

😎 📘 과거완료진행형 (Past Perfect Continuous)/had been -ing

  • "about to" = 곧 ~하려던 참이었다
    → **"about"**은 전치사로, **"to"**는 부정사로 쓰여 **"무언가를 하려던 순간"**을 표현해.

🧩 예시로 확인

예시 1. "I was about to leave."

끊어 읽기 + 구조 직역

  • I  was about to / leave.
    → 나는 ~하려던 참이었다 / 떠나다

해석

  • 이 문장은 과거 시점에서 바로 떠나려던 순간을 표현.
  • **"about to"**는 "곧 ~하려던 참이었다"는 의미로, 떠나려고 했던 찰나였다는 뉘앙스.
  • 과거의 일어날 뻔한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 2. "She was about to speak when I interrupted her."

끊어 읽기 + 구조 직역

  • She  was about to  speak / when / I interrupted  her.
    → 그녀는 ~하려던 참이었다  말하다 / 언제?/ 내가 방해했던 (때)  그녀를

해석

  • 이 문장은 말하려던 순간방해한 상황을 묘사.
  • **"about to"**는 "말하려던 참이었다"는 뜻으로, 말을 시작하려던 찰나였음을 표현.
  • "when" 이후의 내용은 그 순간에 일어난 사건을 강조.

예시 3. "I'd been about to switch on the bathroom light."

끊어 읽기 + 구조 직역

  • I’d  been about to / switch on / the bathroom light.
    → 나는  ~하려던 참이었다  켜다 / 화장실 불을

해석

  • **"I'd been about to"**는 과거완료진행형으로, "화장실 불을 켤 참이었다"는 의미.
  • **"been about to"**는 과거의 시점에서 직전에 일어날 뻔했던 일(아래에 추가 설명)을 나타냄.
  • 과거완료진행형은 그때까지 진행되었고, 그때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

 👀 "직전에 일어나지 않은 일" ("something that almost happened but didn’t")
과거완료진행형에서 **"직전에 일어나지 않은 일"**을 말할 때는, 어떤 일이 일어날 뻔했지만 결국 일어나지 않았던 상황을 강조할 때 사용해.
이때 “직전에 일어나지 않은 일” (영어식: "something that almost happened but didn’t")을 표현하는데 유용하다.👉 예시: **“I’d been about to leave”**는 **“나는 떠나려던 참이었다”**는 뜻으로, 그 직전에 일어날 뻔한 일이었으나,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은 상황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4. **"I'd been about to"**의 해석

  • I'd been = 과거완료진행형 (had + been)
    → 과거의 특정 시점에서 계속 진행되었던 상태행위를 나타낸다.
  • about to = 곧 ~하려던 참이었다
    → 'about'은 전치사로, **"to"**는 부정사로 쓰여 **"무언가를 하려던 순간"**을 표현한다.

결국, “I'd been about to”는 '하던 일이었으나,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일'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 과거완료진행형 vs 과거 시제

  • **과거완료진행형 (had been + ~ing)**은 과거의 한 시점보다 더 이전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면서 진행 중이었음을 강조해.
  • 과거 시제는 그저 단순히 과거에 일어난 사건만을 나타내.
시제예문의미
과거 시제 I was about to leave when the phone rang. 전화가 울리기 전에 나가려고 했었으나, 울린 전화에 의해 멈춤.
과거완료진행형 I’d been about to leave when the phone rang. 전화가 울리기 전에 내가 나가려던 찰나였음. (정확한 순간 직전에 방해받은 느낌)

😎 보충설명링크: 📘 과거 완료(had + p.p.) – 단순 과거와의 차이, 감정의 거리

😎 보충설명링크: 🎯 "been" 완벽 정리

😎 보충설명링크: 📘 과거완료진행형 (Past Perfect Continuous)/had been -ing

 

 

 

 

 

🌿 Emotional Grain – 감정의 결

🪞 감정의 결 하나 – '직전의 찰나'

  • I'd been about to거의 했던 일을 강조하면서 미래에 대한 예고와 좌절을 풍긴다.
  • **"멈춰버린 찰나"**의 감정적 표현으로 보이는 듯.

🪞 감정의 결 둘 – '멈춰버린 순간'

  • **"brought up short"**는 갑작스럽게 멈춰버리는 순간의 당혹을 나타낸다.
  • 감정의 급변을 비유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 궁금하거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