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mily: 'Noto Serif KR', 'Georgia', serif;
본문 바로가기
📎 Expression Archive

📎 'assume'

by To Be or... Whatever 2025. 4. 25.

💬 의미 요약


(추정하다 / 떠맡다 / ~인 척하다)
상황·정보·역할 등을 ‘받아들이며 전제하거나 취하는’ 동작.
 
 

📚 의미의 심화


assume은 라틴어 assumere에서 유래했으며,
ad- (toward) + sumere (to take) → ‘가져오다, 받아들이다’는 뜻이다.
 
이때 sumere는 다시 'sub-'(아래에서) + 'emere'(취하다)에서 파생되며,
이는 단순히 받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를 끌어올려 취하는 적극적 의미를 내포한다.
 
즉, assume의 뿌리는 단순한 추정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어떤 것을 내 쪽으로 취하며 받아들이는 주체적 행위라는 점에 있다.
이 어원적 감각은 단어의 세부 의미들—추정, 책임 수락, 태도 취함—이 모든 의미를 관통한다.
 
현대 영어에서는 이 의미가 다음 세 방향으로 분화된다:

  1. 정보나 상황을 내 쪽으로 끌어와 ‘사실로 전제’
     → I assume you’re tired.
      (내가 어떤 ‘근거 없이 받아들인’ 상태)
  2. 책임·역할 등을 ‘내가 받아들임
     → assume control / assume responsibility
      (그것이 내 몫임을 받아들이는 의지 표현)
  3. 태도·표정 등을 ‘취함
     → assume an air of confidence
      (어떤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취하는 ‘자기 연출’)

이처럼 assume은 단순히 생각하다의 의미를 넘어서,
'내가 어떤 것을 향해 취하고 받아들인다'는 신체적 감각과 연결된 단어다.
이는 물리적 동작이든, 심리적 설정이든, 모두 내면적 주체의 '취함(taking)'을 전제로 한다.
 

 

💡 포인트


assume은 늘 ‘내가 어떤 방향으로 (의지든 무의식이든) 받아들이고 취한다’는 주체의 개입이 존재한다.
이는 다른 유사 표현들—presume, suppose, take on, put on 등과의 결정적 차이이기도 하다.
 
 

🧠 어법 구조

① assume + that절 → ‘~라고 가정하다’
② assume + 명사 (책임/역할 등) → ‘맡다, 취하다’
③ assume + 형체/표정/태도 → ‘~인 척하다, ~을 띠다’

 
 

🧪 예문 (청크 기반, 3단계)

입문
She assumed / he had left already.
그녀는 / 그가 이미 떠났다고 / 가정했다
중급
He assumed / responsibility / for the mistake.
그는 / 책임을 맡았다 / 그 실수에 대해
고급
The politician / assumed / a humble expression / during the interview.
그 정치인은 / 겸손한 표정을 지었다 / 인터뷰 중에
 
 

🔍 Similar Expressions

 
📌 presume
 증거는 부족하지만, 논리적으로 '그렇겠지'라고 여김
 예: I presumed he was out because the lights were off.
         (나는 그가 나갔다고 여겼다 / 불이 꺼져 있어서)
📌 suppose
 불확실하지만 '그럴지도' 모른다고 생각함
 예: I suppose she’ll be late again.
        (나는 그녀가 또 늦을 거라고 생각해-확실하진 않지만)
📌 take on
 책임·역할을 ‘떠맡다’는 의미에 특화
 예: She took on the role of leader in the crisis.
         (그녀는 리더 역할을 맡았다 / 위기 상황에서)
📌 put on
 표정·태도 등을 '입듯이' 가장함
 예: He put on a smile, but it didn’t reach his eyes.
         (그는 웃음을 지었다 / 하지만 눈에는 닿지 않았다)
 
 
🕯️ 감정 포인트

assume은 겉으로는 이성적인 판단처럼 보이지만,
때로는 사실과 다를 수 있는 내적 전제를 드러낸다.
‘그럴 거야’라는 무언의 추정, 혹은 ‘그럴 수밖에 없겠지’라는 내면의 감정적 설정이 담긴 표현이다.
또한 책임을 받아들이는 의지의 표명이나, 표정·태도를 취할 때는 의도적인 자기 연출의 느낌도 담긴다.
 
 

 

😎 🕊️ The Vegetarian | Ep.26-when reality had yet to assume...

 

📮 궁금하거나 나누고 싶은 것이 있다면,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