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ther than having been out of her mind, she'd been aware of everything – me coming out of the bedroom, my question, coming over to her.”
— The Vegetarian, tr. Deborah Smith
🌿 Emotional Grain of a Sentence
_Between Language & Resonance_
이 시리즈는
언어의 정확한 구조와 감정의 결을 함께 읽어내며,
외국어라는 타자를 화자의 몸에 체화하려는 시도입니다.
⚔️ 양날의 검객
언어의 두 기둥 –
실질 기술적 패턴 & 정서 문화적 뉘앙스
🛠️ Practical Grain
표현 분석, 어법, 번역의 함정들
🌿 Emotional Grain
관계의 거리와 감정의 흐름을 읽는 감응
📖 Episode begins here
⋯⋯⋯⋯⋯⋯⋯⋯⋯⋯
⚔️ Practical Grain – 실용의 결
🔩 병렬 주석형 트리 구조
① Rather than having been out of her mind
└─ 비교 구문 도입: ~이었기보다는
└─ having been out of her mind
└─ 완료동명사: 미쳐 있었던 상태
② she'd been aware of everything –
└─ 주절: 그녀는 모든 것을 알고 있었다
└─ had been aware of
└─ 과거완료 + 형용사 구조
└─ everything
└─ 아래 세 가지 항목으로 구체화:
① me coming out of the bedroom
└─ 동명사구: 내가 침실에서 나오는 것
② my question
└─ 명사구: 내 질문
③ coming over to her
└─ 주어 생략 동명사: (내가) 그녀에게 다가가는 것
“Rather than having been out of her mind, / she/'d been aware of everything – me / coming out of the bedroom, my question,/ coming over to her.”
👉 그녀가 / 미쳐 있었던 것이 아니라기보다는, / 그녀는 / 모든 것을 알고 있었다 – / 내가 / 침실에서 나오는 것,
/ 내 질문, / (내가) 다가가는 것을.
🔹 (1) Rather than having been out of her mind
- Rather than ~: “~라기보다는” (비교·대조의 연결어)
- having been out of her mind:
- 완료 동명사 구조 (having + p.p.)
- ‘미쳐 있었던 상태’가 과거에 완결된 일처럼 표현됨
- “out of her mind”는 정신이 나간 상태 (비유적 표현)
⛏️ 구조 요약: Rather than [완료 동명사] → ~했던 것이 아니라기보다는
🔹 (2) she’d been aware of everything – [...]
- she’d been = she had been
- 과거완료 시제로, 과거의 특정 시점보다 더 이전의 상태를 표현
- 여기서는 “내가 그녀에게 다가갔던 그 시점 이전부터” 그녀가 이미 알고 있었다는 암시
- aware of everything:
- aware는 형용사 → “~을 알고 있는”
- of 뒤에 ‘모든 것’을 받으며, 아래에 이어지는 요소들이 everything에 대한 구체적 내용
🔹 (3) 병렬된 세 가지 요소 (everything 뒤):
me coming out of the bedroom | 목적격 + 동명사 | 내가 침실에서 나오는 것 |
my question | 소유격 + 명사 | 내 질문 |
coming over to her | 동명사 | (내가) 그녀에게 다가가는 것 |
✅ 여기서
‘me coming’ vs. ‘my question’ vs. ‘coming over’
→ 형태가 다름에도 병렬 구조를 유지.
특히 마지막 ‘coming over’은 주어 생략형으로 읽음.
🧾 핵심 표현 해설
- out of one’s mind
- 직역: 제정신이 아닌 → 미쳤다는 뜻의 관용 표현
- 예: He must be out of his mind to quit that job.
(그는 그 일을 그만두다니 제정신이 아닌 게 분명해)
- aware of ~
- ‘~을 알고 있다’, 주로 감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
- ‘know’보다 지속적 인지 상태 강조
- coming over to ~
- 여기서 come over to someone은 신체적 접근을 의미
- 다만, 감정적으로도 ‘관심을 기울이는 쪽으로 마음이 옮겨가는’ 뉘앙스 내포 가능
📘 보충 설명 – 완료동명사 vs 과거완료 시제 (having been vs. had been)
✅ 핵심 비교
having been | 완료동명사 (과거에 완료된 행위) | 명사 역할로 주어/목적어/보어 가능 |
had been | 과거완료 시제 (과거 이전 시점의 상태) | 동사의 시제 구조로 사용 |
✅ 예문 3단계
- 🔹 입문
→ Rather than having eaten it, he threw it away.
→ 먹었던 게 아니라, 그는 그것을 버렸다. - 🔹 중급
→ Rather than having lied, she stayed silent.
→ 거짓말을 하기보다는, 그녀는 침묵을 지켰다. - 🔹 고급
→ Rather than having been careless, he had carefully weighed all his options.
→ 부주의했던 것이 아니라, 그는 모든 선택지를 신중히 검토했던 것이다.
😎 추가설명링크: 📘 완료동명사 (having + p.p.) 완전 정리
😎 추가설명링크: 📘 완료동명사 vs 과거완료 비교 정리
🌿 Emotional Grain – 감정의 결.
🪞 – 차가운 연극처럼, 자신을 바라보는 그녀의 침묵
“me coming out of the bedroom, my question, coming over to her”
이 나열은 마치 극장에서 장면 하나하나를 보듯 나열된다.
그녀는 그 모든 걸 보고 있었지만, 무언의 침묵으로 응답하지 않는다.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일부러 반응하지 않았다는 것은
→ 상대에게 더 깊은 단절감을 안긴다.
🎭 영국식 감정 말투 – 서늘한 간접성의 묘사
- Rather than having been... / she'd been aware...
→ 영국식 문체는 직접 표현하지 않고,
부정형 대조 구조로 감정을 전달함.
→ ‘미친 게 아니었다’는 말로, 실제로는 감정적 긴장감을 더 강조 - 병렬 구조를 통한 정서적 거리감 형성
→ 행동 하나하나를 나열하면서도, 서술자는 감정적 개입 없이 진술
→ 전형적인 영국식 ‘감정 없는 감정 전달’ 방식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편하게 답글로 알려 주세요.
우연을 만드는 창구가 되리라 희망합니다.
— Written by To Be or... Whatever
Walking Miles Without a Map
'🕊️ Between Language and Reso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he Vegetarian | Ep.22-...was swallowed up through the door. (1) | 2025.04.08 |
---|---|
🕊️ The Vegetarian | Ep.21-It was like ...failed to notice me... (1) | 2025.04.07 |
🕊️ The Vegetarian | Ep.19-to try and get/ (1) | 2025.04.06 |
🕊️ The Vegetarian | Ep.18-as though perfectly oblivious/ 가정법 (0) | 2025.04.05 |
🕊️ The Vegetarian | Ep.17-so I couldn't make out/알 수 없는 두려움 (0) | 2025.04.05 |